본문 바로가기
화장품뷰티

화장품 유화제,점증제는 무엇일까?

by 뉴니 newni 2022. 3. 21.

안녕하세요. 뉴니입니다!

회사 업무로 너무 바빠서 오랜만에 돌아왔습니다~

그래도 꾸준히 업로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지난 게시글에서는 화장품 보습제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지난 시간 포스팅을 다시 한 번 살펴봤는데, 너무 특정한 원료들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게되는 것 같아서 방식을 조금 바꿔보려고 합니다.

보습제, 유화제, 점증제 등의 분류에서 개괄적인 설명만 우선 드리고, 특이점이 있는 성분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넘어가려고 합니다. 그리고, 앞으로 몇몇 제품의 전성분 분석을 실제로 보여드릴텐데 그 때, 새로운 성분에 대해서 더 설명하고 넘어가는 것으로 하려고합니다.

그럼 유화제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유화제란 무엇일까?

유화제형의 화장품이 많기때문에 유화제라고 언급을 하고있지만, 정확히 말하면 계면활성제입니다. 계면활성제들 중 유화에 쓰이면 유화제, 가용화에 쓰이면 가용화제라고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화장품은 물과 기름을 억지로 섞어놓은 화합물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 때, 억지로 섞이도록 만들어주는 것이 계면활성제입니다. 이 전의 게시글에서 불투명한 색을 갖게되면 유화, 투명하면 가용화 제형이라고 말씀드렸었는데 쉽게말하면 여러분이 사용하시는 영양크림의 경우 불투명한 유화 제형일 확률이 높습니다. 반대로 알로에 젤이나 가벼운 타입의 젤크림, 투명한 물 타입의 토너 등이 가용화 제형일 확률이 높습니다.

대표적인 유화제로는 PEG-100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20, 폴리소르베이트80, 레시틴 등이 있습니다.

 

유화안정제란 무엇일까?

유화안정제는 유화제만으로는 불안정할 수도 있는 제형을 안정하게 만들어주는 성분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대표적인 유화안정제로는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등의 다가 알코올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성분들이 들어가서 제형의 경도나 점도를 조금 높이는 경향은 있습니다만, 크게 신경쓰셔야할 성분은 아닌 것 같습니다.

 

 

점증제란 무엇일까?

화장품 제품의 점도, 경도를 형성하는 성분입니다. 같은 점증제를 사용한다고 했을 때, 많이 넣을수록 점/경도가 더욱 높아지게되어 영양감있고 꾸덕한 사용감을 주게됩니다.대표적인 점증제로는 카보머, 잔탄검, 셀룰로오스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습니다. 점증제는 주로 분자량이 큰 폴리머가 많기때문에 주로 '~코폴리머', '~검'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점증제는 제형의 특성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인데, 한가지 예를 들면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적용했을 때는 늘어나는 사용감과 외관을 부여한다는 것입니다.

위의 사진은 제가 직접 정제수에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만' 풀어서 넣고 늘려본 사진입니다. 투명해서 잘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손가락 사이에 늘어나있는 제형이 보이실겁니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활용하는 화장품은 주로 달팽이점액화장품이나 보습이 잘 된다고하는 화장품에서 많이 선택하여 적용합니다. 그러니, 저의 블로그를 보신 여러분들은 전성분을 확인해보시고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가 있다면 달팽이점액추출물이 들어가서 화장품 제형이 늘어나는게 아니라는것을 꼭 아시기 바랍니다. 물론 이 점증제없이도 특정 효능물질을 넣어서 늘어나는 제형을 만들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전성분을 꼭 확인해보셔야 속지 않으시겠죠!

 

이 밖에도 오일, 컨셉성분, 사용감조절제 등의 분류가 있다고 말씀드렸지만 특정 성분만을 가지고 설명드리기에는 너무 넓은 범위라서 다음시간부터 특정 제품의 전성분을 분석하며 예를 들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전성분이 궁금하신 제품이 있다면 댓글로 달아주세요! 참고하여 전성분 분석할 제품을 찾아보겠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모두 피부미인 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