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장품뷰티

화장품 제형과 전성분 분류

by 뉴니 newni 2022. 3. 4.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화장품 전성분 분석 방법에 대해서 간결하게 설명드렸습니다.

전성분에 적혀있는 성분들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드리기 전에 가장 기본적인 화장품 제형에 대해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서 제형 분류를 오늘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더불어, 앞으로 많이 언급하게 될 전성분의 분류에 대해서도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그럼, 화장품 제형 분류부터 시작하겠습니다! 

 

 

 

화장품 제형의 분류

'화장품 제형의 분류' 라는 말 자체가 어려우신 분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스킨, 토너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에센스와 세럼의 차이는 무엇인지에 대해 정의하고 가겠다는 것입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스킨/토너/에센스/세럼/앰플/로션/에멀전/수분크림/영양크림/미스트/픽서에 대한 설명만 드리겠습니다.

 

토너: 주로 화장솜을 사용하여 얼굴을 닦아주듯이 사용하며 피부결 정돈이 주 목적인 물과 같은 제형을 이야기합니다.

스킨: 토너보다 보습감이 있으며, 완전히 투명하기보다는 반현탁액 또는 현탁액으로 점성이 있는 콧물 제형을 이야기합니다.

 

에센스: 특정 성분을 가장 가볍게 농축한 제품으로 성분을 피부에 최적화하여 가볍게 도포할 수 있는 제형을 말합니다.

세럼: 에센스보다 비교적 유효성분의 농도가 짙으며 집중적인 케어가 필요할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앰플: 유효성분의 농도가 가장 농축되어 들어가 단시간에 효과를 끌어내기 좋습니다.

 

로션: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를 조절해주는 보호막 역할을 합니다.

에멀전: 로션에 비해 유분이 많은 편이고 조금 더 묽은 편입니다.

 

수분크림: 수분감이 많은 크림으로 불투명한 유화타입 크림과 투명한 젤로 이루어진 가용화타입의 제형으로 나뉩니다.

영양크림: 수분크림에 비해 유분감이 많으며 재생,탄력,주름 개선에 좋습니다.

 

미스트: 수분, 진정, 보습의 용도로 가볍게 분사되는 제형입니다.

픽서: 메이크업 후에 사용하는 미스트로 메이크업의 지속력을 높여주는 성분이 들어갑니다.

 

한 가지 유의하셔야 할 점은, 다음과 같이 분류는 했지만 분류와는 다른 제품도 많다는 것입니다.

구매하실 때는 제품명만 보고 구매하지마시고, 직접 테스트해보시고 구매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화장품 전성분의 분류

다음은 전성분의 분류입니다.

전성분은 크게 계면활성제(유화제/가용화제),유화안정제,점증제,보습제,오일,사용감조절제,컨셉성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계면활성제: 화장품은 간단하게 말하면 물과 기름을 분리되지않게 억지로 섞어놓은 화합물입니다. 물과 기름을 섞는 실험을 해 보신 분들은 아실텐데요, 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습니다. 이를 억지로 섞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바로 계면활성제입니다. 계면활성제에는 친수기와 친유기가 있어서 각각 물, 기름과 친합니다. 이런 계면활성제의 성질을 활용하여 화장품을 안정화 시키게됩니다.

계면활성제는 또 다시 유화제와 가용화제로 나뉠 수 있습니다. 유화와 가용화를 자세히 설명하면 어려울 것 같아서, 간단하게 불투명한 색을 갖게되면 유화, 투명하면 가용화 제형이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각각 유화제형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유화제, 가용화제형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가용화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유화안정제: 유화제의 역할로만은 제형이 불안정할 수도 있을 경우에 유화안정제를 처방합니다. 유화제 사이사이에 끼어들어 유화능을 높여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점증제: 화장품을 얼마나 꾸덕하게 만들어주는지를 결정하는 성분들입니다. 어떤 점증제를 얼만큼 넣느냐에 따라 화장품의 사용감은 완전히 달라지게 됩니다. 물론, 외형도 달라집니다. 같은 점증제를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스킨에는 적은 양의 점증제가, 크림에는 비교적 많은 양의 점증제가 사용됩니다.

 

보습제: 말그대로 보습능을 가진 원료들입니다. 여러분께서 익히 알고계시는 글리세린도 보습제의 한 종류입니다.

 

오일: 화장품은 물과 기름을 섞어놓은 화합물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이 오일이 바로 기름입니다. 어떤 종류의 오일을 얼마나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얼마나 무거운 제형이 탄생할지가 결정됩니다.

 

사용감조절제: 사용감을 좋게하기위해 처방되는 모든 원료를 말합니다.

 

컨셉성분: 화장품을 광고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성분이 컨셉성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근 세럼'일 경우 '당근추출물'이 컨셉성분이 됩니다. 또한, 이 밖에도 소량 처방되는 유효성분들을 모두 컨셉성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정도면 다음시간부터 말씀드릴 성분에 관한 이야기를 능히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늘의 글이 여러분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과 함께 오늘의 글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