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장품뷰티

[전성분 분석]라운드랩 자작나무 수분 크림

by 뉴니 newni 2022. 11. 17.

안녕하세요. 뉴니입니다.

오늘은 수분 크림을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라운드랩은 선크림 브랜드로 더 많이 알고계실 것 같은데, 수분크림도 좋다는 말을 들어서 오늘은 선크림이 아닌 수분크림을 분석해보려합니다.

제품 사진 먼저 보여드리겠습니다.

 

라운드랩 자작나무 수분 크림

제품의 용기부터 이 제품은 순하고, 미니멀한 컨셉을 가지고 가겠구나라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뭔가 청초하고 촉촉할 것 같은 느낌이 옵니다.

 

전성분

"정제수,글리세린,아이소노닐아이소노나노에이트,아이소도데케인,1,2-헥산다이올,펜틸렌글라이콜,폴리데센,자작나무수액(10,000ppm),호호바에스터,판테놀,글리세릴글루코사이드,아라비아고무나무검,하이드롤라이즈드오크라추출물,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알루로닉애씨드,화이트루핀씨추출물,드럼스틱씨추출물,인도멀구슬나무잎추출물,인도멀구슬나무꽃추출물,아이비고드열매추출물,알로에베라꽃추출물,가지열매추출물,홀리바질잎추출물,참산호말추출물,울금뿌리추출물,아스코빅애씨드,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트로메타민,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에틸헥실글리세린,아가,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부틸렌글라이콜,다이소듐이디티에이"

 

 

분석

언제나처럼 1%선을 먼저 예상해보겠습니다. 자작나무수액까지는 확실히 1%이상이 처방되었다는게 표기되어있으므로, 아라비아고무나무검 정도까지가 1% 선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전체적인 전성분을 봤을 때, 추출물을 전반적으로 앞으로 뺀 것을 봐서는 아라비아고무나무검이 1%이하 처방성분이라면 저렇게 앞쪽에 있지 않을 것 같기 때문입니다.

 

'정제수'는 물입니다. 정제수 이하의 모든 원료를 처방한 후에 원료의 총 합이 100%가 될 때까지 물을 넣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글리세린'은 보습을 목적으로 처방한 폴리올입니다. 많은 폴리올 중에서도 가장 보습능이 좋은 원료로 보편적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아이소노닐아이소노나노에이트'는 수분 증발 방지를 위해 적용된 에스터 오일입니다. 수분 증발을 방지해주면서도 너무 무겁지 않은 사용감 조절을 위해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소도데케인'또한 수분 증발 방지와 사용감 조절을 위해 적용된 오일입니다. 이 원료의 경우 퍼짐성이 좋은 오일로 제품을 바를 때 더욱 매끈하게 퍼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2-헥산다이올'은 방부제 free 제형에서 방부제를 대신해 적용하는 폴리올입니다. 방부목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펜틸렌글라이콜'은 앞서 말씀드린 1,2-헥산다이올의 방부능을 부스팅시켜주기 위해 함께 처방된 것으로 보입니다. 두 원료가 이 제품의 방부를 책임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폴리데센'은 수분증발을 차단하기 위한 오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원래 화장품에서 미네랄 오일을 많이 사용했었는데, 소비자의 인식이 안좋아지면서 미네랄 오일을 대체하여 폴리데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작나무수액(10,000ppm)'은 제품명에 자작나무라는 이름이 사용되기 때문에 함량을 함께 표기해주고 있습니다. 10000ppm=1%입니다. 컨셉성분 1%를 적용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제품명과 함량 표기의 연관성에 대해 더 알고싶으신 분들은 제가 이전에 썼던 글을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22.03.03 - [분류 전체보기] - 화장품 전성분 분석하는 방법

 

화장품 전성분 분석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서포터님들에게 화장품에 대한 모든 것을 설명드릴 뉴니라고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하고나서 떨리는 첫 글입니다. 많은 말 하지않고, 바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화장

newni.tistory.com

'호호바에스터'는 호호바에서 얻은 버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습에 좋은 성분입니다.

'판테놀'은 항염성분입니다. 항염효능이 뛰어나지만 원료 자체가 꿀보다 더 끈적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0.5%~1%정도를 처방하여 효능을 얻는 원료입니다.

'글리세릴글루코사이드'는 보습제입니다. 여러분이 많이 알고계시는 히알루론산과 보습능이 비슷한데 분자량이 더 작고, 비교적 끈적임이 덜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아라비아고무나무검'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점증제입니다.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와 '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여러분이 잘 알고 계시는 히알루론산 성분입니다. 이 제품은 보습에 가장 많이 신경을 쓴 제품인 것 같습니다. 이 원료들은 수소결합이 가능하여 수분을 오랫동안 피부에 잡아두는 역할을 합니다.

'아스코빅애씨드'는 수용성 비타민C 성분입니다. 피부 항산화 등에 효과가 있습니다.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는 사용감과 수분 증발 차단을 위해 적용된 에스터 오일입니다.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는 제품의 점도를 높여주기 위해 적용한 점증제입니다.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는 유화제입니다.

'트로메타민'은 제품을 중화시켜 점증제가 점증 기능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pH를 조절해주는 원료입니다.

'에틸헥실글리세린'은 앞에서 방부를 담당하고 있다고 말씀드렸던 두가지 원료와 함께 방부를 부스팅해주는 원료입니다.

'아가'는 점증제입니다.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는 감초산에서 얻은 성분인데, 피지조절에 효과가 있습니다.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는 유화제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부틸렌글라이콜'은 폴리올로 분류가 되는데, 1% 미만으로 처방이 된 것을 봐서는 일부러 처방을 했다기보다는 각종 추출물 내에 용매로 사용된 부틸렌글라이콜이 전성분에 표기된 것으로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다이소듐이디티에이'는 킬레이팅제입니다. 제품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속이온을 봉쇄하여 제품의 안전성 및 안정성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이 제품의 전성분을 분석해보니, 보습에 가장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양한 보습제를 처방했고, 끈적임을 최소화 하기위해 신경을 쓴 것 같습니다.

오늘도 저의 분석이 여러분의 현명한 구매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